와챠의 우당탕탕 개발 기록장
[프로그래머스 / kotlin] 실패율 / data class 활용 본문
문제 설명
슈퍼 게임 개발자 오렐리는 큰 고민에 빠졌다. 그녀가 만든 프랜즈 오천성이 대성공을 거뒀지만, 요즘 신규 사용자의 수가 급감한 것이다. 원인은 신규 사용자와 기존 사용자 사이에 스테이지 차이가 너무 큰 것이 문제였다.
이 문제를 어떻게 할까 고민 한 그녀는 동적으로 게임 시간을 늘려서 난이도를 조절하기로 했다. 역시 슈퍼 개발자라 대부분의 로직은 쉽게 구현했지만, 실패율을 구하는 부분에서 위기에 빠지고 말았다. 오렐리를 위해 실패율을 구하는 코드를 완성하라.
실패율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스테이지에 도달했으나 아직 클리어하지 못한 플레이어의 수 / 스테이지에 도달한 플레이어 수
전체 스테이지의 개수 N, 게임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현재 멈춰있는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긴 배열 stag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실패율이 높은 스테이지부터 내림차순으로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겨있는 배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라.
입출력 예
N | stages | result |
5 | [2, 1, 2, 6, 2, 4, 3, 3] | [3,4,2,1,5] |
4 | [4,4,4,4,4] | [4,1,2,3] |
처음 풀이
일단 단순하게 접근했다.
1. 실패율 구하기
2. 실패율 내림차순 정렬
3. 기존 실패율 배열의 index+1을 level로 삼아 정렬한 실패율을 이용해 답 도출
class Solution {
fun solution(N: Int, stages: IntArray): IntArray {
var answer = intArrayOf()
// 1
val fail = (1..N).map{ stage ->
if(stages.count{ it >= stage } == 0) 0.toDouble()
else stages.count{ it == stage }.toDouble() / stages.count{ it >= stage }.toDouble()
}
// 2
val sortFail = fail.toSet().sortedDescending()
// 3
for(i in 0 until sortFail.size) {
for(j in 0 until fail.size) {
if(sortFail[i] == fail[j]) answer += j+1
}
}
return answer
}
}
통과는 했지만 다른 사람 풀이를 보다가 data class를 활용해 level과 실패율을 같이 관리하는 코드를 봤는데, 훨씬 직관적이어 보여서 참고해서 코드를 바꿔봤다.
최종 코드
level과 실패율인 failRate를 다루는 data class를 생성했다.
처음부터 level, failRate를 받아서 생성하는 것이 아닌, failRate를 계산하는 데에 필요한 fail, pass 정보를 받아 data class 내에서 데이터를 다루고자 하였다.
fail, pass는 data class 내에서 Folat로 사용되지만 기존 데이터 타입인 Int로 받은 뒤 data class 내에서 Float로 바꿔주는 게 data class를 만들어 관리하는 이유 같아서 그렇게 만들었다.
보다 깔끔하게 코드가 작성된 거 같아서 뿌듯하다!
data class Stage(val level: Int, val fail: Int, val pass: Int) {
val failRate: Float = if(pass == 0) 0f else (fail.toFloat()) / pass
}
class Solution {
fun solution(N: Int, stages: IntArray): IntArray {
var answer = arrayOf<Stage>()
(1..N).forEach{ level ->
answer += Stage(level,
stages.count{ it == level },
stages.count{ it >= level }
)
}
return answer
.sortedByDescending{ it.failRate }
.map{ it.level }
.toIntArray()
}
}
이런 문제처럼 실패율 배열을 정렬해서 return하는 게 아니라 level을 구해서 return해야하는 문제가 종종 있는데 앞으로 이렇게 data class를 활용해서 풀면 더 깔끔하게 풀 수 있을 거 같다!!
'코딩 일기장 > CodingTe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 kotlin] 타겟넘버 (1) | 2025.05.29 |
---|---|
[프로그래머스 / kotlin] 롤케이크 자르기 (0) | 2025.05.23 |
[프로그래머스 / kotlin] n^2 배열 자르기 (1) | 2025.05.07 |
[프로그래머스 / kotlin] 명예의 전당(1) / PriorityQueue (0) | 2025.04.25 |
[프로그래머스 / kotlin] 택배 상자 꺼내기 (0)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