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getvilagefcst (2)
와챠의 우당탕탕 개발 기록장

1에서 Hilt와 retrofit2의 초기 설정을 했다.그리고 request를 만들고, response와 이 정보를 토대로 ui에 사용할 데이터인 HomeWeather를 만들었다.이제 retrofit2를 사용해 실제로 api를 연결할 차례다!! 1. HomeService 생성2. providersHomeService 생성3. HomeDataSource 생성4. HomeRepository 생성5. HomeRepositoryImpl 생성6. HomeViewModel 생성7. UI에 데이터 넣기1. HomeService 생성retrofit2에서 baseUrl로 설정해준 것 외에도 필요한 파라미터들을 전달하기 위한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만들었다.이 정보로 GET 요청을 해서 HomeResponse를 받으려고 한다..

Jetpack Compose로 네트워크 연결을 해보려고 한다.아무래도 안드가 제공해주는 강의에선 실제 네트워크 연결이 아니다보니까 기술적 성장에 한계가 있는 거 같아 직접 연결해보기로 했다.그동안 배운 개념들 총 집합...!!!Hilt 이용해서 의존성 주입하고, (프로젝트가 크진 않지만 확장 가능성 고려해서) MVVM 패턴으로 플젝 구성해보려고 한다.근데 넘 길어질 거 같아서 2개로 나눠서 올릴 듯레츠꼬 0. 준비 - 결과 화면 - 플젝 초기 설정 - api 명세 설명1. Hilt, Retrofit2 라이브러리 추가2. Hilt 초기 설정3.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Retrofit2 객체 생성4. UI에서 사용할 데이터 정리5. request, response 생성0. 준비- 결과 화면왼쪽 UI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