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263)
print("와챠의 개발 기록장")
Udemy에서 git 강의 들은 거 몇몇개 정리해보랴고 한다~~ 1. 커밋 로그 이력 보기 2. 각 커밋간 차이 알아보기 3. 원하는 커밋으로 돌아가기(이전, 이후) 4. remote 5. git checkout 대신 git switch 6. amend 새로운 내용 덮어쓰기 7. reset commit 기록 되돌리기 8. revert 9. stash 10. cherry pick 11. fork 1. 커밋 로그 이력 보기 git log로 commit_id 앞 4자리 정도 알아낸 뒤 (git reflog: HEAD가 가리켰던 commit 기록 모두 보여줌, 숫자 작을수록 최신 기록) 2. 각 커밋간 차이 알아보기 git diff {commit_id} {commit_id} 3. 원하는 커밋으로 돌아가기(이전,..
오늘 해볼 것: 1. 사용자가 갤러리에서 선택한 이미지를(uri) 2. S3에 순서대로!! 여러장을 한꺼번에!! 업로드하고 3. 업로드한 이미지 링크(url)를 순서대로!! 한꺼번에!! 받아오기 플젝할 때 이미지 url을 DB에 저장하기로 했는데 순서가 중요하단 말임..?? 순서대로 업로드하고, 그 링크를 순서대로 저장하기 위해 RxKotlin을 사용해 보았습니다.. S3와 Burket은 이미 생성되어있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1.S3 Access Key와 Secret access key를 github에 보이지 않도록 저장 아래 글 참고!! https://min-wachya.tistory.com/220 [Android/Kotlin] hide KEY/KEY 숨기기 ACCESS KEY나 S..

ACCESS KEY나 SECRET ACCESS KEY 같이 중요한 정보는 github에서 보여지면 위험하기 때문에 꼬옥 숨겨주어야 한다. 프로젝트 할 때 S3와 통신할 일이 있어서 ACCESS KEY랑 SECRET ACCESS KEY를 안드 내에 저장하고, 꺼내 쓸 일이 있었는데 어케 KEY를 숨기고 꺼냈는지 써보려고 한다! 1. local.propertiles 파일에 해당 키들을 적어준다. access.key = AK어쩌구저저구QF secret.access.key = h1이러쿵저러쿵1P 2. app 단위 build.gradle에 아래 코드를 추가한다. 코드는,,, 보면 금방 알겠지만 주석으로 설명해봄. plugins { ... } // 추가 // Properties를 사용해서 local.properti..

공식문서 - Hilt를 사용한 종속 항목 삽입 data binding을 배우고나서,,, ViewModel 생성 시 ViewModelFactory를 사용했는데, 이 ViewModelFactory의 코드가 참 복잡했다. 뭐를 생성하고 생성자에 넣고 또 생성자에 이거 넣어주고,,, 참 복잡하고 귀찮다!! 그래서 이런 의존성을 바탕으로 객체를 주입해주는 라이브러리인 Hilt를 사용해 이 코드를 수정해보려고 한다. 먼저 기존 코드를 보자 이건 ViewModel 생성 시 ViewModelFactory에서 ViewModel을 생성해주는 코드이다. class HomeFragment: Fragment() { private lateinit var binding: FragmentHomeBinding // ViewModel ..

만들고자 하는 것: 지상/층수 Text가 들어간 Picker Picker divider color 변경 '선택 완료' 버튼 클릭 시 선택한 값 반환 Acivity에서 Dialog 생성하고 Interfase 이용해서 반환값 가져오기 Fragment에서 Dialog 생성하고 Interfase 이용해서 반환값 가져오기 1. dialog_select_floor.xml 생성 + Picker divider color 변경 2. SelectFloorDialog.kt 생성 package com.example.safetymanagement2022.ui.building_detail import android.content.Context import android.graphics.Color import android.gra..

아래 사진과 같이 선택한 하나의 item 배경색만 바꿔보려고 한다.!! 생각보다 넘 간단해서 깜놀 item_building.xml Adapter부분이다 // 주석된 부분만 보면 됨!! 간단하죠 class ConnectBuildingAdapter: ListAdapter( ListBuildingDiffCallback()) { private lateinit var binding: ItemDialogBuildingBinding private var selectedBuildingId: String = "" // 선택한 view private var currView: TextView? = null override fun onCreateViewHolder(parent: ViewGroup, viewType: Int):..

목차 1. Clean Architecture 간단 설명2. MVVM 설명3. MVVM을 사용한 Clean Architecture 설명4. 프로젝트에서 Clean Architecture를 사용하는 법 글 작성에 앞서, 전에 작성한 앱 아키텍처 내용을 다시 한 번 숙지하면 좋을 것 같아서 링크 달아둠!https://min-wachya.tistory.com/209 [Android/Kotlin]Udemy 강의 정리: #8: App Architecture with Android Jetpack(1) (UI Layer, Data Layer) 목차 시작하기 전에 UI Layer란? ViewModel의 데이터 관리 방법 Data Layer란? UI Layer 구현법 Data Layer 구현법 ViewModelFactor..

아래 ui는 한이음:DetectUs 프로젝트 ui 입니다! 구현해 볼 것: Fragment의 button 클릭 시 Activity로 이동하기(startActivity) (ListBuildingFragment의 플로팅 버튼 클릭 시 BuildingCreateActivity로 이동하기!!) (==> 사실 Fragment냐 Activity냐는 별로 안 중요함,, startActivity로 Activity를 호출하고 싶은 거임) ViewModel에 아직 익숙치 않아서 적어두려 한다^_^; 1. ViewModel에 버튼을 클릭했는지, 안 했는지 상태를 저장할 변수, 함수 생성 package com.example.safetymanagement2022.ui.list_building import androidx.l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