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263)
print("와챠의 개발 기록장")
만들고 싶은 앱이 있는데 일단 앱은 어떻게 만드는지 잘 모르겠어서... 그전에 자바로 대충 정리해보려고 했는데ㅋㅋㅋㅋㅋㅋㅋ 아 자바로 구현하는 것도 어렵네!??!^^ ... ...... 그래 난 코딩 배운 지 1년도 안 되었으니까... 모를 수도 있지... 그치만... 답답하다. 뭔가 클래스끼리 관계도 내가 직접 만들어야 하고 그 안에서 일어나는 과정들도 매끄럽게 내가 잘 다듬어야 하고... 머리로는 알겠는데 머리가 안 따라주는 기분임;;; (엥?) 지금은 만들고 싶은 앱 목적이랑 각 목적에 어떤 서비스를 어떻게 제공할 건지 노트에 대충 끄적여놨다. 그리고 자바로도 만들고는 있는데... 어렵다... 추상 클래스로 먼저 뼈대를 잡아놔야 하나? 뭐부터 해야 할지, 또 어떻게 구현해야 할지 막막하다.ㅋㅋㅋㅋㅋ..

문제 2차원 평면 위의 점 N개가 주어진다. 좌표를 y좌표가 증가하는 순으로, y좌표가 같으면 x좌표가 증가하는 순서로 정렬한 다음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점의 개수 N (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i 번 점의 위치 xi와 yi가 주어진다. (-100,000 ≤ xi, yi ≤ 100,000) 좌표는 항상 정수이고, 위치가 같은 두 점은 없다. 출력 첫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점을 정렬한 결과를 출력한다. 풀이(C) 풀이(JAVA) 저번 문제에서 비교함수를 x, y로 바꿔주기만 하면 끝!!
이 책도 8/1에 읽은 거다. 노인을 타깃으로 앱을 만들고 싶은데 어떻게 하면 좋을지를 몰라서 읽어본 책이다. 그리고 와장창 충격을 받았다. 노년층을 타깃으로 하려면 시장 전략을 세울 때 제품 대상 연령을 알 수 없도록 하거나, 아예 제품을 이용하는 젊은 층을 부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 사회는 아직 "늙음"에 대한 시각이 부정적이기 때문이다... 책에서 들어준 예시가 아직도 기억난다. 나이가 들어 이 건강이 안 좋아져서 아이용 죽을 먹는 노인들이 있다고 한다. 이들을 위해서 어떤 회사가 노인용 죽을 만들었다. 그런데 그 죽이 잘 팔리지 않았다는 것이다. 왜냐면 어르신들이 아이용 죽을 사면 자식들 음식을 사주는 것이 되지만 노인용 죽을 사면 '나 늙어서 이런 거 먹는다'라고 광고하는 ..

8월 말에 쓰지만 사실 이 책은 7/21~23에 읽었다. 폰 갤러리 보는데 저때 찍은 사진이 있어서 이제야 쓰는 느낀 점 ㅎㅎ 인문학 + 과학인 책이라 정말정말 흥미롭고 재밌었다. 혁명을 시작한 사람들도 혁명이 어떤 것인지, 어떤 영향을 미칠지 몰랐다는 점과, 창의성은 전혀 상관없어 보이는 두 분야의 만남에서 나온다는 것이 기억에 남는다. 과학과 인문학은 둘 다 중요하고, 서로를 융합할 때 더 멋진 결과를 내는데 인문학은 과학보다 중요하지 않다는 취급이 널리 퍼져있는 것 같다. 아무튼 이 책을 읽은 이유는 요즘에 4차 산업혁명, 실버 사회에 관심이 많아져서이다. 내가 만들고 싶은 앱도 거기에 초점을 맞추고 싶은데 갈피가 잘 안잡혀서 책을 보고 도움을 얻고자 했다. 결론은 흠... 더 복잡해졌다. 고령화 ..

문제 2차원 평면 위의 점 N개가 주어진다. 좌표를 x좌표가 증가하는 순으로, x좌표가 같으면 y좌표가 증가하는 순서로 정렬한 다음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점의 개수 N (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i 번 점의 위치 xi와 yi가 주어진다. (-100,000 ≤ xi, yi ≤ 100,000) 좌표는 항상 정수이고, 위치가 같은 두 점은 없다. 출력 첫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점을 정렬한 결과를 출력한다. 풀이(C) 풀이(JAVA) JAVA에서는 toString()을 오버라이드 하지 않거나, 출력할 때 StringBuilder을 쓰면 더 빨라진다.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for문으로 sb...

문제 배열을 정렬하는 것은 쉽다. 수가 주어지면, 그 수의 각 자릿수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해보자. 입력 첫째 줄에 정렬하고자하는 수 N이 주어진다. N은 1,000,0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자리수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한 수를 출력한다. 풀이(C) 풀이 (JAVA) JAVA를 C언어 풀이대로 풀어도 당연히 맞다고 나옴! JAVA는 참 다양함 함수가 주어져서 편하다...^^

문제 수를 처리하는 것은 통계학에서 상당히 중요한 일이다. 통계학에서 N개의 수를 대표하는 기본 통계값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단, N은 홀수라고 가정하자. 산술평균 : N개의 수들의 합을 N으로 나눈 값 중앙값 : N개의 수들을 증가하는 순서로 나열했을 경우 그 중앙에 위치하는 값 최빈값 : N개의 수들 중 가장 많이 나타나는 값 범위 : N개의 수들 중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이 N개의 수가 주어졌을 때, 네 가지 기본 통계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1 ≤ N ≤ 500,000)이 주어진다. 그다음 N개의 줄에는 정수들이 주어진다. 입력되는 정수의 절댓값은 4,000을 넘지 않는다. 출력 첫째 줄에는 산술평균을 출력한다.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

문제 N개의 수가 주어졌을 때, 이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1 ≤ N ≤ 10,0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숫자가 주어진다. 이 수는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결과를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풀이(C) 메모리 초과 풀이(C) - 카운팅 정렬 풀이(JAVA) 시간 초과 풀이(JAVA) - 카운팅 정렬 시간이나 메모리 초과가 안 되려면 수의 범위가 더 작아야하나 보다...^^ 그래도 카운팅 정렬을 공부해봤으니까 코드는 남겨둬야지. 내가 이해한 대로 코드에 정리해두고있는데 엄청 복잡해보인다.